올해는 조형을 만들 수 있는 소재를 많이 찾은 것이 특징적이에요. 형태의 자유로움이 보장되는 소재는 콩크에서 보기에도 재밌는데요. 투명한 것, 색감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것, 텍스처가 재밌는 것 등 각자의 프로젝트에서 원하는 조건이 다양했습니다. 레진으로 만든 욕조 작업을 보고, 어떻게 제작했는지 이해하기 위해 소재 회사와 여러 번 통화했던 것이 기억에 남네요.
4th
조형유리
5th
플라스터
6th
인조 오닉스
소재 옆에는 다양한 국내 제작 또는 친환경 스티커가 붙어 있어요. 2023년에 처음 소개된 소재들은 화살표 표시가 있답니다.
7th
코튼스프레이
8th
유리벽돌
9th
햄프크리트
10th
특수 도료
11th
플라스틱 테라조
12th
미러솔
13th
축광 테라조
반짝반짝, 포기할 수 없는 은박 무드
금속은 고유의 특성인 매끈함, 고급스러움 때문인지 항상 상위권에 있는 재료입니다. 그중에서도 은박, 알루미늄에 대한 문의가 잦았어요. 특색 있는 마감을 위해 구겨진 무드, 망치로 두드린 해머톤, 발포 알루미늄은 올해에도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14th
레진
15th
미크리트
16th
꽃잎 표면재
17th
조경
18th
해머드 메탈
19th
흙
20th
폼가구
46%가 국내에서 자체 제작된 소재들이에요.
국내 소재
해외 소재
21th
재활용 플라스틱
22th
균사체
23th
옻칠
24th
굴패각
25th
플라스터
26th
젤 패드
27th
그레이팅
28th
alc블럭
29th
재활용 플라스틱
30th
cxp
31th
복합 패널
다양한 소재의 테라조
테라조는 올해 소재 도감에서 자세히 다뤘었는데요. 비이커의 알루미늄 테라조가 어마어마한 주목을 받았었죠. 테라조하면 흔히 생각하는 석재 외에도 종류가 다양합니다. 유리로 만든 테라조는 빛이 투과되고 이 자체로 오브제가 되어서, VMD 팀에서 많이 찾았습니다.
32th
발포 알루미늄
33th
밍예스
34th
백페인트글라스
35th
유리블럭
36th
특수 도료
37th
frp 그레이팅
38th
비건가죽
39th
고무바닥재
40th
재활용 플라스틱
투박한 플라스터
자연스럽고 투박한 질감의 플라스터가 전반적으로 우세했습니다. 플라스터의 톤은 실제 천연 석재에서 볼 수 있거나 흙 톤같이 실제적인 무드를 많이 봤어요. 목화솜 플라스터에 이어 뿌리는 거친 질감의 한지 벽지가 하반기에 주목받았습니다.
41th
코르크
42th
재활용 플라스틱
43th
바이오매스
44th
실리콘 러그
45th
유리블럭
46th
우드칩 테라조
47th
흡음 패널
48th
아세테이트
39%가 친환경 소재예요.
친환경
그 외
49th
레진
50th
플라스터
51th
유리블럭
52th
아크릴
53th
흡음 패널
54th
frp
55th
아크릴
56th
펠트
57th
쪽염색
58th
옻칠
디테일해지는 친환경 소재
친환경 소재를 찾을 때 들어가는 부자재도 친환경이 맞는지 확인하거나 제조 과정에서 이상은 없는지 친환경에 대해 디테일하게 찾는 팀이 늘어났어요. 무늬만 친환경인 게 아니라 실질적으로 환경에 도움이 되는지 브랜드에서 확인하는 분위기입니다. 그러다 보니 굴, 대마, 버섯 균사체같이 천연 소재로 제작되는 친환경 소재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59th
스펀지
60th
무늬목
61th
바이오매스
62th
아크릴 레진
63th
펄프
64th
마블 콘크리트
소재도 출신이 중요해요
친환경 소재의 기본 요건 중 로컬 소재가 있는 것 아시나요? 운송과정에서 생기는 환경 오염을 생각해 되도록 로컬 소재를 쓰는 것도 친환경의 실천입니다. 전국 소재 자랑을 통해 대마, 쪽 염색, 옥사, 옻칠, 한지 등 다양한 소재가 발굴됐죠.
65th
유리 모자이크
66th
고무바닥재
67th
alc블럭
68th
조형유리
69th
테라코타
70th
스위치
71th
파사드메쉬
72th
백페인트글라스
73th
옥사
전에 본 적 없는 소재!
우리 팀만 할 수 있는 특별한 소재를 찾다 보니, 작가분들이 작업한 소재까지 거침없이 올라갑니다. 옻칠과 패브릭의 결합, 부서진 MDF를 활용한 암석 같은 마감, 위빙 작업으로 표현한 조경, 대마 껍질로 만든 오브제 등 다양한 작가분들의 작품이 관심을 받았습니다.
74th
지사벽지
75th
옻칠
76th
환기
77th
한지
78th
hpl
79th
옥사
80th
부식거울
29개 소재가 2023년에 처음 소개되었어요. 축하합니다!
81th
코르크
82th
아크릴
83th
유글라스
84th
발포 알루미늄
85th
유리 테라조
86th
LVT
87th
레진
빛이 투과되는 소재
콩크 초창기부터 꾸준하게 문의가 들어오는 카테고리입니다. 그동안 스톤시트, 바리솔 등 다양한 빛 투과 소재를 소개했는데, 올해는 디올 매장에 사용됐던 인조 오닉스가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얼핏 한지 같은 질감이 표현되는 유리섬유 판넬도 뺴놓을 수 없죠.
88th
실리콘
89th
스테인드글라스
90th
컬러 스테인레스
91th
슬래그
92th
해머드 메탈
단일 소재의 주목, 펠트
단일 소재로 올해 가장 눈에 띈 것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펠트!라고 답하겠습니다. 콩크 디자인 위크에서도 전시 무드를 내기 위해 연보라색 펠트를 사용했죠. 원래 흡음 소재로 펠트가 많이 쓰였는데, 펠트 자체가 빛이 투과돼서 조명 작업이 가능하고, 층층이 쌓아 올린다거나 접어서 가구, 오브제 작업을 할 수도 있습니다. 알고 보면, 만능 소재인 펠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