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원벽지 시공사례📸

    복원벽지 실사용한 사례 궁금하셨죠? @sasa_rchitects 팀이 디자인한 대흥역 인근의 코워킹 스페이스 보어라운지에 들렀습니다. 여기에 배무이의 복원벽지 중 바로크 라인이 메인 벽에 시공되었습니다. 어떤 배경이 숨겨져 있을까 궁금해서 찾아보니 ‘조선 바로크’라는 이름이 붙었더라고요. 이 벽지는 1937년 작 전남 장성 한일 절충식 가옥에서 발견된 바로크 양식의 벽지입니다. 초배지로 1937년도의 아사히 신문이 발견되어서 연대가 비교적 정확한 벽지입니다. SaSa에서는 메인테이블에 들어간 메라톤 상판과 자작나무 상판에 벽지가 잘 어울리고, 창밖 풍경에 보이는 나뭇잎과도 배경처럼 잘 맞아서 선택했다고 해요. 이국적인데 중후한 느낌이 들기도 하고, 할머니 집같이 묘하게 편한 감성도 있고요😊 북유럽의 아름다운 패턴 벽지도 좋지만, 옛 한옥에서 쓰던 벽지를 복원해서 사용하는 것도 낭만 있고 의미 있는 일인 것 같아요. 배무이 팀의 근대 벽지 아카이빙 작업에 힘을 실어줄 방법이고요! 벽지 라인에는 숙자, 순영, 옥순, 상철, 영철, 재호 등의 이름이 붙어있습니다. 마음에 드는 패턴을 정해서 어떤 배경이 있는지 찬찬히 살펴봐요! 콩크에 오시면 벽지 실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ㄱ 구역⏐벽지

    Related materials and references

    관련 믹스테잎에 연결된 샘플들을 볼 수 있어요! 콩크 마스터라면 각각의 이미지를 클릭하여 소재를 샅샅이 낱낱이 알아보세요.

    마스터로 시작하기